본문 바로가기
교육학 기출 정리하기

2014학년도 중등 임용 교육학 기출 이론 정리 2

by 병아리상담사 2023. 5. 30.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도 임용 공부를 하는 병아리 상담사입니다. 
저번 포스팅은 2014학년도 중등 임용고시 교육학 기출문제 앞부분을 살펴보았습니다. 
아래에 링크에 저번 포스팅 올려드릴게요!

https://counselstory.tistory.com/entry/2014%ED%95%99%EB%85%84%EB%8F%84-%EC%A4%91%EB%93%B1-%EC%9E%84%EC%9A%A9-%EA%B5%90%EC%9C%A1%ED%95%99-%EA%B8%B0%EC%B6%9C-%EC%9D%B4%EB%A1%A0-%EC%A0%95%EB%A6%AC-1

 

그렇다면 바로 다음 부분으로 넘어가도록 하겠습니다. 2014년도 문제는 아무래도 교육학 논술이 시작된 지 얼마 안 되어서 인지 최근의 기출 경향과는 다소 다른 느낌입니다. 최근의 문제는 열린 답안도 많이 생겼고, 문제 길이도 길어졌고 원하는 주제도 분명하고 제시하고 있는데 이 시기의 문제는 약간 엉성한 느낌이 드네요. 그래도 비교적 중요한 주제들 위주로 출제되고 있는 것 같습니다.

그럼 군말 없이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박 교사와 최 교사의 대화를 통해 아래의 문제를 해결하면 되는데요. 오늘은 협동학습 실행 측면, 형성평가 활용 측면, 교사 지도성 행동 측면에서의 동기 유발 방안을 논의하는 문제입니다. 배점은 9점으로 각 요구하는 요소당 3점씩 배정되는 것 같습니다. 


(3) 협동학습 실행 측면에서의 동기 유발 방안 논의

위 제시문에서 협동학습과 관련된 부분은 최 교사의 발언입니다. "다만 학생들끼리 함께 수업을 하도록 할  때는 무엇보다 서로 도와주고 의존하도록 하는 구조가 중요하다는 점을 유의해야겠지요. 그러한 구조가 없는 경우에는 수업활동에 열심히 참여하지 않는 학생들이 많아진다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요." 

협동학습의 특징
① 이질적인 학생들로 구성
② 개별 책무성 존재
③ 구성원 간의 상호의존성 기초함 
④ 구성원 간의 지도력 공유 
⑤ 교사의 적극적 개입

협동학습은 과정보다 결과를 중시하는 버릇이 발생하거나 잘못된 이해가 발생할 수 있고, 능력이 부족한 학생의 소외나 수치심 문제, 무임승차 효과, 봉 효과, 링겔만 효과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도록 협동학습 실시할 때 집단보상과 개별보상을 함께 실시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협동학습 실행 시 수준이 제각각인 이질적인 학생들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각각에 맞는 과제를 부여하여 개별 책무성을 갖게 하는 것도 동기 부여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교사가 적극적으로 개입을 하거나 협동학습기술을 습득하도록 도와야 합니다. 


(4) 형성평가 활용 차원에서의 동기 유발 방안 논의

본문에서 관련된 부분은 박 교사의 말에 있습니다. "저는 학기 중에 수시로 학업성취결과를 점수로 학생들에게 알려 주고 있는데요. 이렇게 했을 때 성적이 좋은 몇몇 학생들을 제외하고는 나머지 학생들은 자신의 성적을 보고 실망하는 것 같아요." 

형성평가는 교육학 논술에서 자주 나오는 주제라고 생각합니다. 매우 중요하니까 공부를 꼼꼼하게 해 두는 것이 중요할 것 같습니다. 

형성평가의 개념
- 형성평가는 교수-학습(수업) 진행 중에 학생들이 학습목표를 제대로 달성하고 있는지, 학습내용을 얼마나 잘 이해하고 있는지 수시로 점검하기 위해 실시하는 평가이다.

형성평가 효과적인 시행방안&동기유발방안
① 준거지향평가 실시
② 수시로 평가 실시
③ 적절한 피드백 제공
④ 교정학습의 기회 제공
⑤ 교사 제작 검사 실시
⑥ 평가결과의 최종 성적에 미반영  

여기에서 제시한 시행방안, 동기유발방안 중 2가지를 적으면 답이 될 것 같습니다.


(5) 교사지도성 행동 측면에서의 동기 유발 방안 논의

교사지도성 관련한 부분은 최 교사의 대화 중 "교사는 지도자로서 학급과 학생의 상황을 고려하여 학생들의 학습 동기를 불러일으킬 수 있는 지도성을 발휘해야겠지요." 입니다. 

해당하는 지도성은 허쉬와 블랜차드의 상황적 지도성에 해당한다고 생각합니다. 본문에서 '상황'이라는 키워드를 힌트로 제시했고요. 교육학 문제를 풀다 보면 정말 손댈 수 없을 정도로 어려운 문제를 내지는 않고, 문제에 약간의 힌트를 숨겨두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문제를 꼼꼼히 읽는 연습이 필요합니다. 

허쉬와 블랜차드의 상황적 지도성 이론 
① 구성원의 성숙도(준비도) 따라 지도성 유형을 달리하는 것 
② 구성원의 성숙도 : 개인적 직무수행능력(직무성숙도) & 개인적 동기수준(심리적 성숙도) 
③ 지도성 행위 
- 과업행위 : 과업 일방적 설명
- 관계성행위: 심리적 위로, 촉진적 환경 조성 
④ 유형
-지시형:능력, 동기 모두 낮음 /높은 과업, 낮은 관계성
-지도형:능력 낮음, 동기 높음 / 높은 과업, 높은 관계성
-지원형:능력 높음, 동기 낮음 / 낮은 과업, 높은 관계성
-위임형:능력 높음, 동기 높음 /낮은 과업, 낮은 관계성

상황적 지도성에 근거하여 본문에 나오는 학생들을 분석하여 알맞은 유형을 제시하는 것도 답안 서술에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제가 문제를 풀며 메모한 것에는 지시형 OR 지원형이 적절하다고 적었습니다. 


항상 말씀 드리지만 저도 합격을 위해 공부하고 있기 때문에 제가 정리하는 것들이 100% 정답이라고는 확신하지 않습니다. 그냥 웃으시면서 이 사람은 이렇게 생각하고 있구나 이 정도로만 생각해 주셔요! 벌써 시간이 흘러 임용고시도 6개월 정도밖에 남지 않았네요. 남은 기간 최선을 다해 열심히 공부하여 올해 꼭 합격하도록 해야겠어요. 혹시나 저의 글을 보시는 분들 중에 주부 임고생이 있으시다면 함께 힘을 내서 올해는 기필코 함께 합격하자고요! 

다음 포스팅은 2015학년도 상반기 추시 교육학 기출 문제를 분석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오늘 하루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