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저번 포스팅에 이어서 2014년도 상반기 추시 중등 임용고시 교육학 기출 이론정리를 해보고자 합니다. 오늘로 2014년 상반기 추시 기출 이론 정리 포스팅은 끝입니다! 다음 포스팅은 2014년도 기출 이론 정리를 하려고 합니다. 저번 포스팅에서도 말씀드렸던 것처럼 저는 아직 합격자도 아니고, 교육학 전공자도 아니고, 그저 제가 공부한 것들을 까먹지 않고 복습하기 위해 이렇게 글을 쓰는 것이기 때문에 자신이 생각하는 방향과 다르다고 하여 태클은 정중히 사양합니다..^^ 제가 참고하는 책은 권지수의 핵심 쏙쏙 100입니다! 저는 여러 강사들의 책을 보았었는데요.(교과 임용 장수생이었음) 공부하다가 제일 요즘 트렌드에 맞고, 이론이 보기 좋게 정리된 책은 권지수 선생님 책이라고 생각이 들어서 선택하였습니다. 강의는 듣지 않고 책만 구입하여 보고 있습니다. 나중에 모의고사 강의는 들을 계획입니다.
서두가 너무 길었습니다. 지금부터 시작하겠습니다.
저번에서는 일지 #1파트를 살펴보았습니다. 일지 1에 해당하는 배점은 총 9점입니다. 오늘은 밑의 일지 #2를 보도록 하겠습니다. 여기에서 요구하는 문제는 학문중심교육과정 이론에 근거한 수업 전략을 논의 하는 것(3점), 교사 전문성 개발을 위한 장학활동 논의입니다. 교육과정과 교육행정에서 출제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저번 포스팅에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청소년 비행이론은 교육 사회학, 행동중심/인간중심 상담 관점은 생활 지도와 상담 파트에서 출제 되었습니다. (이 부분은 전공 이론과 연계된 문제여서 어렵지 않았습니다.) 2023년도까지 정리를 마치면 각 영역에서 어떤 문제들이 출제되었는지 정리하여 올려보도록 하겠습니다.
1. 학문중심교육과정 이론에 근거한 수업 전략 논의 (3점)
위의 본문에서 학문중심교육과정과 관련된 부분은 "학교에서 배우는 기초 지식이나 원리가 직업 활동의 근간이 되기도 한다는 것을 어떻게 아이들이 깨닫게 할 수 있을까? 내가 일일이 다 설명해 주지 않아도 아이들이 스스로 교과의 기본 원리를 찾을 수 있게 하려면 어떤 종류의 과제와 활동이 좋을까?"입니다. 소소한 팁 중 하나는 문제를 풀 때 본문을 살짝 언급해 주는 것도 글의 완결성을 위해 필요합니다. 교육학 논술은 정확한 이론의 답을 작성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글의 완결성 또한 중요하기 때문에 본문을 언급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학문중심 교육과정
① 교육 목적 : 지적 수월성 확보
② 교육 내용 : 지식의 구조 → 교육 과정 : 나선형 교육과정
③ 교육 방법 : 발견학습 (교사의 지시를 최소화하고 '학습 과제의 최종적 형태'를 학습자 스스로 찾아내게 하는 방법(일종의 안내된 발견)
저는 수업 전략을 발견학습을 실시하는 것으로 잡고 발견학습의 특징에 대하여 서술하는 방향이라고 생각합니다.
발견학습의 특징
① 지식의 구조에 대한 철저한 학습을 강조함
② 학습자의 능동적인 학습 강조
③ 학습의 결과보다 학습의 과정이나 학습 방법을 강조함
④ 학습 효과의 전이를 중시함
2. 교사 전문성 개발을 위한 장학 활동 논의(3점)
위의 지문에서 해당하는 내용은 "오후에 있었던 교과협의회에서 수업 전문성 개발을 위한 장학 활동을 몇 가지 소개받았다. 이제 내 수업에 대해 차근차근 점검해 봐야겠다."입니다. 교내 장학 방법 중 한 가지를 서술하는 방향으로 잡았습니다.
교내 장학의 종류
① 임상 장학 : 학급 내에서 교사와 학생의 상호작용에 초점을 둔 장학, 교실 내에서 교사의 수업기술 향상과 전문적 성장을 목적으로 교실 수업에 초점을 둔 교사중심의 장학임 (교사중심 장학)
② 동료 장학 : 수업의 개선을 위해 교사들이 서로 협동하는 장학의 형태. 교사의 수업개선과 전문적 성장을 위해 둘 이상의 교사가 서로 수업을 관찰하고 그 결과에 대해 상호조언하며 협동하는 장학 (협동적 동료 장학)
③ 자기 장학 : 교사 자신의 전문적 성장을 위해 스스로 계획을 세우고 실천해 나가는 자율장학(가장 이상적인 형태)
- 자기 수업의 녹음, 녹화, 학생의 의견조사, 전문서적 탐독, 대학원 진학이나 각종 세미나 참여, 전문인사의 자문과 조언 등을 활용할 수 있음
④ 약식 장학 : 교장이나 교감이 잠깐 교실에 들어 교사의 수업 및 학급경영활동을 관찰하고, 이에 대해 지도하고 조언하는 활동을 말함.
개인적으로 임상장학/동료장학/자기 장학 중 적는 것이 맞는 느낌이다. 시험장에서 기억나는 걸로 서술하는 것이 옳다고 생각합니다. 오늘 이론 정리는 여기까지! 다음 포스팅은 2014년도에 치른 기출 시험 이론을 정리하도록 할게요!
'교육학 기출 정리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5학년도 상반기 추시 중등임용고시 교육학 기출분석 2 (0) | 2023.06.09 |
---|---|
2015학년도 상반기 추시 중등임용고시 교육학 기출분석 1 (0) | 2023.06.08 |
2014학년도 중등 임용 교육학 기출 이론 정리 2 (0) | 2023.05.30 |
2014학년도 중등 임용 교육학 기출 이론 정리 1 (0) | 2023.05.26 |
2014년도 상반기 추시 중등임용 교육학 기출 이론 정리 1 (0) | 2023.05.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