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병아리 상담사입니다. 오늘도 역시나 교육학 기출 이론 분석 포스팅으로 돌아왔습니다. 아직도 6개년의 기출문제가 남아있습니다. 열심히 힘을 내서 분석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벌써 200일이 깨지고 100 일대로 시험 디데이가 들어왔습니다. 이제는 본격적인 하반기의 시작인데요. 개인적으로 하반기 공부가 정말 중요하다고 생각하는지라 이제부터 힘을 내어서 공부해 보려고 합니다!
그렇다면 본격적으로 2018학년도 임용고시 교육학 기출을 분석해보도록 하겠습니다! 2018년도에도 교과 임용을 준비하고 있어서 열심히 공부했었는데요. 이 해는 실수로 1점 차로 1차에서 떨어져서 무척이나 아쉬웠던 해였습니다. 2019년도까지 시험을 치르고 한동안 시험을 안 봤었는데요. 다시 보니 속상한 기억이 한가득~ 교육학을 더 잘 봤더라면 붙었겠지요.
전공 시험도 중요하지만 교육학 고득점도 합격의 지름길이라는 사실! 사설이 너무 길었네요. 바로 들어갈게요.
다음은 A 중학교 학생들의 학업 특성 조사 결과에 관해 두 교사가 나눈 대화인데요. (1) 교육과정, (2) 수업, (3) 평가, (4) 장학에서 문제가 출제되었고, 전체 주제는 '학생의 다양한 특성을 고려하는 교육'입니다. 교육과정, 교육 방법 및 교육 공학, 교육 평가, 교육행정에서 출제 되었습니다. 역시나 이 네 과목에서 출제가 되었습니다.
(1) 워커의 교육 개발 모형의 명칭, (2) 문제중심학습, (3) 평가유형의 명칭과 개념, (4) 교내 장학에서 출제가 되었고 문제의 내용적인 배점은 총 15점입니다. 그리고 논술의 구성과 표현은 5점입니다.
(1) 박 교사가 제안하는 워커의 교육과정 개발 모형의 명칭, 이 모형을 교육과정 개발에 적용하는 이유 3가지를 서술하시오. (4점)
박 교사 : 그런데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학생의 개인별 특성을 준시하는 의견과 교과를 중시하는 의견 간에차이가 있습니다. 이를 조율하기 위해서는 시간이 걸리겠지만 적절한 논쟁을 거쳐 합의에 이르는 심사숙고의 과정이 필요합니다.
본문에서 힌트를 얻을 수 있는 부분입니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워커의 자연주의적 교육과정 개발모형, 즉 숙의모형에 관하여 서술하시면 됩니다. 숙의 모형의 명칭을 서술하고 교육과정 개발에 적용하는 이유는 이 모형의 특징, 장점에서 서술하는 것이 답인 것 같습니다.
[숙의 모형]
개념 : 실제 상황에서 교육과정이 어떻게 개발되는지 자연스러운 가정을 설명함.
절차 : 토대 다지기 > 숙의 > 설계
[특징]
1. 서술적 모형 : 교육과정 개발자들이 실제로 따르고 있는 절차를 서술하고 있다.
2. 과정 지향적 모형 : 결과보다는 교육과정 개발에 이르는 의사결정 과정이나 절차를 중시한다.
3. 비선형적/역동적 모형 : 각 단계는 비선형적, 역동적이며, 순서에 구애받지 않고 타협과 조정이 강조된다.
4. 대규모 교육과정 개발에 적합 : 교육과정 전문가들이 참여하고, 개발을 위한 자금과 시간이 풍부한 비교적 대규모 교육과정 개발에 적합하다.
[장점]
1. 실제 교육과정 개발과정을 묘사함 : 교육과정을 계획하는 동안 실제로 일어나는 것을 정확하게 묘사함.
2. 교육과정 개발에 대화가 필요함을 강조 : 계획자가 다른 강령에 반응하고 숙의하기 위해
3. 특수한 상황(맥락)을 고려한 교육과정 개발 : 교육과정의 설계를 특수한 상황(맥락)에 맞추어야 할 필요성을 강조한다.
(2) PBL(문제중심학습)에서 학습자의 역할 2가지, PBL에 적합한 문제의 특성과 그 특성이 주는 학습효과 1가지를 서술하시오. (4점)
박 교사 : 제가 지난번 연구수업에서 문제를 활용한 수업을 했는데, 수업 중에 학생들이 무엇을 해야 하는지 모르는 것 같았어요. 게다가 제가 문제를 잘 구성하지 못했는지 별로 흥미를 보이지 않더라구요. 문제를 활용하는 수업에서는 학생의 역할을 안내하고 좋은 문제를 개발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어요.
이 문제는 문제중심학습에 대하여 서술하는 문제입니다. 당시 현장에서 많은 분들이 문제해결학습과 헷갈려하셔서 많이 혼란스러웠던 것 같아요.(는 저) 이번에는 이런 일 없이 확실하게 개념을 익혀 시험을 볼 계획입니다.
[문제중심학습의 구성요소]
1. 문제 : 실제 생활과 관련된 복잡하고 비구조화된 것이어야 하며, 다양한 접근과 해결이 가능한 것이어야 함.
-학습 효과 : 비구조화된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학습자는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기를 수 있다.
2. 학습자 : 협동학습(소그룹활동)과 자기주도적 학습(개별활동)을 실시함.
-1) 문제가 제시되면 소그룹별로 협동학습(그룹활동)을 통해 문제와 관련된 가설을 설정하고, 사실을 확인하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알아야 할 학습과제를 설정한 후, 문제해결에 필요한 구체적인 실천계획을 수립함.
-2) 문제확인을 위한 그룹활동이 끝나면, 학생들은 자기주도적 학습을 통해 여러 자원으로부터 효과적인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함.
3. 교사 : 문제상황을 설계하고, 그룹의 학습과정을 지원하고 촉진하는 학습의 지원자, 촉진자이며,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학습과정을 관찰하고 평가함.
4. 학습자원 : 학습자가 교재, 저널, 인터넷, 비디오, 교사, 친구 등 가능한 많고 다양한 자원을 지식의 습득에 활용함.
학습자의 역할은 위의 구성요소에서 밑줄 친 부분을 서술하면 좋을 것 같고, 문제의 특성과 학습효과는 위의 밑줄 친 부분을 서술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문제중심학습의 정확한 개념을 익히고 있다면 쉽게 풀 수 있는 문제였지만 당시 교육학 공부에 소홀했던 저는 어설프게 서술한 것 같습니다. 이번에는 그런 일 없이 정확하게 개념을 인지하고 문제를 풀 것입니다.
오늘은 여기까지입니다. 나머지 문제는 다음 포스팅에서 작성하도록 하겠습니다!
날씨가 무척이나 무더운데 건강관리 하시면서 공부하세요. 파이팅!
'교육학 기출 정리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9학년도 중등 임용고시 교육학 기출 이론 분석 1 (0) | 2023.07.07 |
---|---|
2018학년도 중등 임용고시 교육학 기출 이론 분석 2 (0) | 2023.07.06 |
2017학년도 중등 임용고시 교육학 기출 이론 분석 2 (0) | 2023.07.03 |
2017학년도 중등 임용고시 교육학 기출 이론 분석 1 (0) | 2023.06.21 |
2016학년도 중등 임용고시 교육학 기출 이론 분석 2 (0) | 2023.06.19 |
댓글